pISSN: 2005-8381

지역고용노동연구, Vol.8 no.1 (2018)
pp.73~105

청년층의 노동시장 격차 및 2차 유출 결정요인

문영만

(부경대학교 경제사회연구소 연구교수)

본 연구는 청년패널데이터를 사용하여 청년층의 노동시장 격차 및 2차 유출 결정요인을 분석하 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층의 고용률은 수도권이 비수도권에 비해 5%p정도 높았 으며, 이러한 격차는 지난 16년 간(2000~2016) 지속되었다. 대졸이상 청년층의 임금수준은 수도권 취업자가 비수도권에 비해 월평균 29만 원 정도 높았다. 둘째, 비수도권에서 학교를 졸업한 청년 중에서 수도권 기업에 취업한 2차 유출비중은 25%였으며, 수도권에서 학교를 졸업하고 비수도권 지역에 취업한 비중은 7%에 불과했다. 비수도권 유출자의 67.1%가 4년제 대학졸업 이상의 고학력 청년들이었으며, 유출비중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꾸준히 증가하고 있었다. 셋째, 청년취업자의 전반적인 직장만족도는 수도권에 비해 비수도권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이러 한 만족도 차이는 지난 6년 동안(2009~2014) 지속되었다. 이는 직장만족도의 경우 임금뿐만 아니라 일의 내용, 근로시간, 발전가능성, 의사소통 및 인관관계, 인사고과의 공정성 등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며, 주거환경 등 생활만족도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따라서 수도권 취업자의 임금수준 이 높다고 하더라도 가족과 떨어져서 혼자 생활하는데서 오는 생활만족도 하락 등 다른 요인들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넷째, 회귀분석을 통해 지역청년의 2차 유출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남성일수록, 공인 영어성적 이 높을수록, 인턴 및 직무경험이 있는 청년일수록 수도권으로의 유출가능성이 높았다. 다섯째, 비 수도권 청년들의 취업지역에 따른 임금격차 및 대기업·정규직 취업효과를 추정한 결과, 임금격차의 경우 수도권지역이 6.5%정도 높았으며, 취업효과 또한 대졸이상 학력에서 수도권이 1.5배정도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지방 청년들의 2차 유출을 줄이기 위해서는 지역 간 노동시장 격차를 해소할 필요가 있으며, 청년들이 선호하는 괜찮은 일자리(대기업, 정규직)를 비수도권 지역에 유치 할 필요가 있다.

Young Generation’s Labour Market Gap and Secondary Outflow Determinants

Moon, Young-man

This study combined Youth Panel Data(2009~2014) to analyze the labor market gap of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s and secondary outflow determinants of local young generation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mployment rate of young people was higher by 5%p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is gap has continued for the last 16 years (2000~2016). In the case of the wage level of highly educated youth of university graduation or higher, the wage of metropolitan employees was higher than that of non-metropolitan employees by about 290,000 won per month. Second, of young people who graduated from the school in non-metropolitan areas, secondary outflow percentage who got a job in companie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was 25% and percentage of young people who graduated from the school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got a job in the non-metropolitan area was only 7%. 67.1% of those who leaked into the non-metropolitan area were highly educated young people of four-year university graduation or higher and outflow percentage was steadily increasing over time. Third, overall job satisfaction of youth employe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on-metropolitan area compared to the metropolitan area and this difference in satisfaction has continued for the last 6 years (2009~2014). Fourth, secondary outflow determinants of local young people were analyzed through the regression analysis and as a result, men, those with higher qualified English grades and young people with internship and work experience were more likely to leak into the metropolitan area. Fifth, wage effects and large company·regular permanent position employment effects according to the secondary outflow of local young people were estimated and as a result, wage effects of the metropolitan area were analyzed to be higher by 6.5% and employment effects to be 1.5 times higher only in college graduates or higher.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secondary outflow of local young people, it is necessary to bridge the labor market gap between regions and attract decent jobs preferred by young people large companies, regular permanent position) in the region.

Download PDF list




 
[133-791] 서울시 성동구 행당동 17번지 한양대학교 경영대학 624호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2) 2220-2595/4045      FAX 02) 2220-1169      slim@hanyang.ac.kr
COPYRIGHT © The Korean Regional Employment Association. All Rights Reseved.